
-
Subject
BOOKANIMA is an experimental animation project that breathes cinematic life into books. The term "BOOKANIMA" is a portmanteau of "Book" and "Anima" (Latin for "soul" or "motion"), encapsulating the project’s vision of exploring the inters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rough animated motion.
-
Aim
-
“Book Cinema”
The project seeks to pioneer a new artistic form—the book-film—by exploring a third space that lies between the realms of literature and cinema. -
Homage to Chronophotography
BOOKANIMA pays tribute to the early pioneers of motion studies, Eadweard Muybridge and Étienne-Jules Marey, by reinterpreting chronophotography through contemporary animation techniques. -
Establishing New Concepts in Moving Images
Through methods such as found frames, key points, motion overlay, random cropping and zooming, and off-screen imagery, the project explores and theorizes new aesthetic concepts for moving images. -
The site-specific project
BOOKANIMA transforms the literary cultures of various regions and countries into visual art, aiming to share and engage with audiences in a public and accessible manner.
(examples)
-
Korea: Korean Dance
-
Japan: Girl Action
-
Taiwan: Tai Chi
-
Portugal: Photography A User's Manual
-
Spain: Origami
-
Hungary: Arcszepites
-
Netherland: Skateboard
5. Found Object and Fine Art
* All works being made with open & ready-made resources for the purpose of FINE ART, NOT COMMERCIAL.
-
Category
The project consists of five chapters, each based on chronophotographic animation:
-
Martial Arts
-
Dance
-
Ball Game
-
Leports
-
Image
-
Format
Since 2018 / Color & BW / Stereo / 2K, 4K / DCP, mp4, etc.
-
주제
부카니마(BOOKANIMA)는 ‘Book(책)’과 ‘Anima(생명, 움직임)’의 합성어로, 책에 영화적 생명력을 부여하는 실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이다. 이 프로젝트는 책과 영화의 경계에서 새로운 시청각적 서사를 탐구하며, 정지된 이미지와 움직이는 이미지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창작 실험을 진행한다.
-
목적
-
‘책 영화’ 창작 및 탐험
책과 영화 사이, 제3의 경계 지점을 실험하며 ‘책 영화(Book Cinema)’이라는 새로운 예술 형식을 모색한다. -
크로노포토그래피에 대한 오마주와 로코모션 실험
19세기 움직임 연구의 선구자인 에드워드 머이브리지와 에티엔-쥘 마레에게 오마주를 바치며, 그들의 크로노포토그래피 기법을 현대 애니메이션으로 재해석한다. -
무빙 이미지 개념의 확장
‘파운드 프레임(Found Frame)’, ‘키 포인트(Key Point)’, ‘동체중첩(Overlayed Motion)’, ‘랜덤 크롭/줌’, ‘외화면(Off-Screen)’ 등의 실험을 통해 움직이는 이미지의 새로운 미학적 개념들을 정립한다. -
장소특정적 프로젝트
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도서 문화를 시각예술로 재구성하여, 관객과의 공유를 통해 문화적 상호작용의 장을 확장한다.
(examples)
-
한국: Korean Dance
-
일본: Girl Action
-
대만: Tai Chi
-
스페인: Origami
-
헝가리: Arcszepites
-
네덜란드: Skateboard
-
미국: Andy Warhol
5. 파운드 오브젝트 및 순수예술
* 이미 공개된 기성의 자료들을 사용하며 상업적 목적이 아닌 순수예술을 위한 창작 및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.
-
카테고리
본 프로젝트는 크로노포토그래피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다.
-
무술
-
춤
-
구기운동
-
레포츠
-
이미지
-
포맷
2018- / 컬러 & 흑백 / 스테레오 / 2K, 4K / DCP, mp4 등
1. Martial Arts
2. Dance
3. Ball Games
5. Image